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의 농업협동조합(농협): 과거부터 현대까지의 변천과 발전

by 코스메 2023. 5. 25.

농업협동조합은 농민들의 경제활동을 공동으로 영위하여 농업경영을 발전시키고 농민들의 지위향상을 도모하는 경제단체입니다. 이 글에서는 농업협동조합의 개념과 목적, 그리고 전문농협과 종합농협의 구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농협의 심볼 마크 이미지
농협 심볼마크

농업협동조합의 개념과 목적

농업협동조합은 농민들이 협력하여 농업경영에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공동으로 수행하는 경제단체입니다. 농업협동조합은 농업경영자인 농민들의 지위향상과 경제적 이익 증진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를 위해 농업생산부터 유통, 금융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농민들을 지원합니다. 농업협동조합은 농민들의 자율적인 조직으로서 농촌사회의 발전과 균형된 농업경제의 형성을 목표로 합니다.

전문농협과 종합농협의 구분

농업협동조합은 전문농협과 종합농협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됩니다. 전문농협(專門農協)은 농민들이 스스로 조직한 협동조합으로, 주로 농민들의 경제활동을 지원하고 발전시키는 데 중점을 둡니다. 전문농협은 농민의 자체적인 조직으로서 농업생산과 관련된 사업을 중심으로 경영합니다.

 

그러나 기능과 규모가 제한적이며, 주로 개발도상국에서 나타나는 형태입니다. 반면, 종합농협(綜合農協)은 정부에 의해 설립되고 육성되며 다목적 사업을 겸영하는 농협입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서 찾아볼 수 있는 형태로, 신용사업을 비롯한 다양한 사업을 수행합니다.

 

종합농협은 농민들의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데 중점을 두며, 농업금융과 경제사업을 통해 농업경영의 발전과 농민의 생활개선을 도모합니다. 이렇게 전문농협과 종합농협은 각각의 형태와 목적에 따라 농업협동조합의 다양성과 유연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한국의 농협의 기원과 변천

한국의 농협은 오랜 역사를 가진 협동조합으로, 농민들의 경제적 이익을 증진시키고 농업경영을 발전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그 기원은 예로부터 협동조직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대와 중세의 협동조직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협동조직의 기원이 확인되는데, 고대와 중세 시기에 다양한 협동조직이 형성되었습니다. 계, 향약 등의 협동조직이 이에 해당합니다. 계는 신라시대에 시작된 가배계에서 비롯되어 조선 초기에는 목계, 학계, 혼상계, 종계, 농계, 식리계, 친목사교계 등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이러한 조직은 상호협력의 기반을 이루고 오늘날에도 서민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향약은 송나라에서 시작되어 조선 중종 때 도입된 조직입니다. 향풍교화와 함께 사창(社倉)의 구성을 통해 민생구황을 도모하는 조직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전통적 조직은 상호도움을 위한 인적 조직이지만, 현대적인 농협과는 성격이 다릅니다.

근대적 협동조합의 등장

근대적 협동조합은 한말인 1907년 공포된 "지방금융조합규칙"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이는 광주에서 처음 설립된 지방금융조합을 가리킵니다. 이후 여러 차례의 법령개정을 거쳐 전국적인 연합조직으로 성장하며, 농업금융을 전담하는 특수은행인 농업은행과 경제사업을 담당하는 농업협동조합이 설립되었습니다.

 

하지만 초기에는 농협의 경영기술의 미숙, 신용사업의 배제와 분리로 인한 자금 부족, 사업기반의 취약 등으로 운영난을 겪었습니다. 또한, 농업은행도 효율적인 운영을 기하지 못해 농촌에 대한 지원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농촌에서는 고리채(고리채)가 만연하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1950년대 농촌사회에서는 이들 농협의 조직상과 운영면에서의 비합리성과 비효율성이 지적되었습니다. 

광복 이후 농협의 설립과 발전

광복 이후 농협은 다양한 농업단체에서 농협 설립을 위한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1957년에는 농업협동조합법과 농업은행법이 제정되었고, 1958년에는 농업은행과 농업협동조합이 발족되어 농촌조직은 이원적 체계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후에도 농협은 운영난을 겪었고, 이에 1961년 5·16 군사정부는 농협을 재편성하여 농촌경제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새로운 농업협동조합법을 제정하였습니다.

 

1961년 8월에 중앙회를 비롯하여 도지부, 시군조합, 특수조합, 이동조합 등의 조직체제를 갖추게 되었고, 농협은 조합업적경진대회와 새 농민운동을 통해 경영체제를 구축하고 합병을 추진하였습니다.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 농협은 단위조합을 강화하고, 경영자립계획을 수립하여 농민을 지원하고, 새마을사업과 같은 사업을 추진하여 농촌의 발전을 도모하였습니다. 농협은 농촌경제의 중요한 기반 조직으로 성장하였고, 민주화와 현대화의 과정에서도 민주적인 운영방식을 채택하고 농민과 사회에 봉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댓글